도시재생
인구 감소, 산업 구조 변화, 무분별한 도시 개발, 주거환경 노후화로 쇠퇴한 지역을 경제적/사회적/물리적/환경적으로 활성화하는 사업입니다.
사업 내용으로는, 주민 역량 강화, 새로운 기술 도입, 지역 자원 활용 등이 있습니다.
도시 쇠퇴 지표
대상 지역은 인구 감소 / 사업체 수 감소 / 생활환경 악화와 관련해 5개 법정 지표를 기준으로 선정합니다.
인구 감소
지난 30년 중 가장 많았던 시기에서 20% 이상 감소
최근 5년간 3년 연속 감소
사업체 수 감소
지난 10년 중 가장 많았던 시기에서 5% 이상 감소
최근 5년간 3년 연속 감소
생활환경 악화
20년 이상 노후건축물 50% 이상
도시재생 뉴딜 목표
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(하드웨어)과 주민들의 역량강화(소프트웨어)로 도시를 '종합 재생'하기 위한 뉴딜 사업 추진 (노후 주거지의 환경 개선과 도시 경쟁력 회복 사업 중점 시행)
주거 복지 실현 | 거주 환경이 열악한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여 기초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고, 저렴한 공적임대주택 공급 |
도시 경쟁력 회복 | 쇠퇴한 구도심에 혁신 거점 공간을 조성하고 도시기능을 재활성화 시켜 도시 경쟁력을 회복 |
사회 통합 | 주민참여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이익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고 소유주와 임차인, 사업주체와 주민 간 상생 유도 |
일자리 창출 | 업무, 상업, 창업 등 다양한 일자리 공간을 제공하고, 도시재생 경제조직 등 지역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|
도시재생 성공을 위한 요소
1 | 주민 참여 |
주민은 사업 주체이므로, 적극적으로 사업 운영에 참여합니다. |
2 | 지역 특화 |
지역 특화 핵심 콘텐츠를 발굴하여 경쟁력 강한 지역을 만듭니다. |
3 | 부처 협업 |
도시재생사업 관련 이해 관계 부처와 원활히 협력합니다. |
4 | 민관 협력 |
공공과 민간의 협업으로 지역 활성화에 더욱 다가갑니다. |